카테고리 없음

비슷한 의미를 가진 영단어 (Come, Go, Get, Be)

⒥┐ⓒ⅜Ⅶ。§】∀˛㎯ 2023. 2. 28. 19:01
반응형

비슷한 의미를 가진 영단어 (come, go, get, be)

 

학창 시절에 영어를 공부할 때 단어의 의미를 사전에서 찾아 한글로 쓰인 단어를 그대로 열심히 외웠던 기억이 있다.

 

수능을 치르고 대학교에 가서야 영어로 외웠던 단어들이 한글과 1대 1로 정확하게 대비되는 의미를 가진 단어가 아닌 가장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한글 표현을 적어 놓은 것일 뿐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글과 영어는 완전히 다른 언어이고 문화도 달라서 한글로 표현된 단어를 단순히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한번 생각을 해 보고 이러한 단어가 사용되는 조금 더 장황한 상황에 대해서 공부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고유한 이름을 가지는 명사를 제외하면 말이다.

 

이러한 경우의 단어들을 몇 가지 정리해 두고자 한다.

 


'가다', '오다'의 비슷한 의미를 가진 동사 (Come, Go, Get, Be)

 


 

1. Come

 

Come은 일반적으로 '오다'의 의미로 사용 되지만 말하는 사람에게 다가가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누군가 부를 때 I'm Coming. 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말하고 있는 사람 쪽을 향해 다가간다는 의미를 갖는다.

 

Are you coming to the meeting?이라는 말 또한 화자가 미팅하는 곳에 있는 것을 전제로 내가 미팅하는 곳에 있지 않더라도 당신도 미팅에 갈 것인지를 묻는 것이다.

 

I'm coming to Korea next week. 라는 말은 화자가 있는 한국으로 내가 다음 주에 가겠다는 이야기다.

 

즉, Come은 온다는 의미가 맞기는 하는데 말하는 사람에게로 온다는 의미로 도착점을 중요시 하는 말인 것이다.

 


 

2. Go

 

Go는 일반적으로 '가다'의 의미로 사용되며 이는 시작점을 중요시 하는 말이다.

 

그래서 보통은 어디로 향하는지 장소를 지정해 줘야 하는데, 도착할 장소가 지정이 안 되는 경우에는 시작점으로부터 없어지거나 사라진다는 의미를 갖는다.

 

Spring is gone. 봄이 갔다.

My health is going. 내 건강이 나빠지고 있다.

This car must go. 이 차는 폐차해야한다.

 

위의 예문들이 Go가 목적지 없이 사용되어 없어지거나 사라진다는 의미로 사용된 예시이다. 

 

일반적으로는 목적지와 함께 쓰여 어디로 간다는 의미를 갖는다.

 

I go there now. 나 지금 거 기로가.

 

내가 지금 여기 있는데 그곳으로 가겠다는 이야기다. 즉, 시작점을 기준으로 이야기하는 것이다.

 


 

3. Get

 

Get은 일반적으로 '도착하다'라는 의미로 암기를 하는데 내용을 굳이 풀어보자면 도착점까지 가는 수단이나 노력을 포함여 '간다'라는 의미이다.

 

Can you go to the meeting tomorrow morning? 당신은 내일 아침 회의에 갈 수 있습니까?

Can you get to the meeting tomorrow morning? 당신은 내일 아침 회의에 갈 수 있습니까?

 

위 예문을 번역기를 돌려봐도 놀랍도록 똑같은 한국말로 해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Go를 사용한 문장이 단순히 내일 아침 회의에 갈 수 있냐는 상황을 묻는 질문이라면 Get을 사용한 문장은 미팅 참석을 전제로 갈 수 있는 수단이 있냐는 물음이 된다. 

 


 

4. Be

 

Be는 문장을 해석하다 보면 일반적으로 '~이 있다'라는 존재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한국어 글로 옮겨 쓰자면 '온다' 또는 '간다'의 의미를 포함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Please come here at six. 6시에 여기로 오세요.

Please be here at six. 6시에 여기로 오세요.

 

위 두 문장도 번역기를 돌려보면 완벽하게 똑같이 번역이 된다.

 

보통 우리가 흔히 6시에 여기로 와달라고 하는 표현은 6시에는 여기에 있어 달라는 의미인데 우리가 외운 단어로 말을 만들다 보면 Be보다는 오히려 Come을 쓰는 편이 더 자연스러워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Come을 사용하는 표현은 6시가 된 순간에 이곳으로 와달라는 표현이고 Be를 사용한 표현은 6시에 여기에 있어 달라는 표현이므로 Be를 사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표현이다. 

 

이런 경우를 제외하고 I will be back. / I will come back. 같은 문장들은 사용되는 의미에 신경 써야 할 만한 큰 차이를 가지고 있진 않지만 'be back'이 조금 더 즉각적 반응이 필요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이고 'come back'은 그것보다는 조금 시간을 두는 경우일 때 사용되는 듯하다.

 

터미네이터 2의 마지막 장면에서 아놀드 슈왈츠 제네거가 "I will be back."이라고 대사를 치는데 원안은 "I will come back."이었다고 한다.

 

"I will be back."

 

수학처럼 딱 떨어지면 좋은데 언어는 그렇지 않으니까. 또 언어가 그렇게 된다면 너무 재미가 없어질 테니까. 다양한 표현 방법을 공부해 보도록 하자.

 


 

반응형